진근점 이각
"오늘의AI위키"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목차 보기/숨기기
1. 개요
진근점 이각은 천체역학에서 궤도를 도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각도이며, 궤도 상태 벡터, 편심 이각, 평균 근점 이각 등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. 궤도 형태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달라지며, 원 궤도에서는 위도 인수 또는 진 경도를 사용한다. 진근점 이각은 이심 근점 이각과 평균 근점 이각과의 관계를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, 사영 이각은 궤도 유형 분류 및 행성 위치 계산에 사용된다.
2. 공식
진근점 이각은 이심 근점 이각 ''E''를 통해 계산하는 것이 편리하다. 이심 근점 이각과 진근점 이각 \nu 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. [7] :\tan \frac{ \nu }{ 2 } = \sqrt{ \frac{ 1 + e }{ 1 - e } } \tan \frac{ E }{ 2 } 여기서 \beta = \frac{ 1 }{ e } \left( 1 - \sqrt{ 1 - e^2 } \right) 를 사용하면, 위 식은 다음과 같은 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. :\begin{align}\nu &= E + \sum_{s = 1}^\infty \frac{ 2 }{ s } \beta^s \sin s E \\ &= E + 2 \left( \beta \sin E + \frac{ \beta^2 }{ 2 } \sin 2 E + \frac{ \beta^3 }{ 3 } \sin 3 E + \frac{ \beta^4 }{ 4 } \sin 4 E + \cdots \right)\end{align} 이심 근점 이각 ''E''는 케플러 방정식 을 풀어 평균 근점 이각 ''M''과의 관계를 통해 구할 수 있다. 이를 진근점 이각 \nu 와 평균 근점 이각 ''M''에 대한 푸리에 급수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 [8] :\begin{align}\nu& = M + 2 e \sin M + \frac{ 5 }{ 4 } e^2 \sin 2 M + e^3 \left( \frac{ 13 }{ 12 } \sin 3 M - \frac{ 1 }{ 4 } \sin M \right)\\ &+ e^4 \left( \frac{ 103 }{ 96 } \sin 4 M - \frac{ 11 }{ 24 } \sin 2 M \right)\\ &+ e^5 \left( \frac{ 1097 }{ 960 } \sin 5 M - \frac{ 43 }{ 64 } \sin 3 M + \frac{ 5 }{ 96 } \sin M \right)\\ &+ e^6 \left( \frac{ 1223 }{ 960 } \sin 6 M - \frac{ 451 }{ 480 } \sin 4 M - \frac{ 11 }{ 24 } \sin 2 M \right) + \cdots \end{align}
2. 1. 상태 벡터로부터
타원 궤도에서 진근점 이각(\nu )은 궤도 상태 벡터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. :\nu = \arccos \over {\mathbf{\left |e \right |} \mathbf{\left |r \right |} }} :(만약 \(\mathbf{r} \cdot \mathbf{v} < 0\) 이라면 \(\nu\)를 \(2\pi - \nu\)로 치환)'''v'''는 궤도를 도는 물체의 궤도 속도 벡터이다. '''e'''는 편심 벡터이다. '''r'''는 궤도 위치 벡터이다.
2. 1. 1. 일반적인 타원 궤도
일반적인 타원 궤도에서 진근점 이각 \nu 는 궤도 상태 벡터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 :\nu = \arccos \over {\mathbf{\left |e \right |} \mathbf{\left |r \right |}}} :(만약 \mathbf{r} \cdot \mathbf{v} < 0 이라면 \nu 를 2\pi - \nu 로 치환) 여기서,'''v'''는 궤도를 도는 물체의 궤도 속도 벡터이다. '''e'''는 편심 벡터이다. '''r'''는 궤도 위치 벡터이다.
2. 1. 2. 원 궤도
원 궤도의 경우에는 진근점 이각이 정의되지 않는데, 이는 원 궤도는 특정할 만한 궤도 근점이 없기 때문이다. 이때는 진근점 이각 대신 위도 인수 ''u''가 사용된다. : u = \arccos { {\mathbf{n} \cdot \mathbf{r}} \over { \mathbf{\left |n \right |} \mathbf{\left |r \right |} }} :(만약 ''rz ''|rz 영어 < 0 이라면 ''u''|u영어 를 2π − ''u''|u영어 로 치환)'''n'''은 승교점을 향한 벡터를 말한다(즉 ''z'' 요소의 ''n'' 값은 0이다). ''rz ''는 궤도 위치 벡터 '''r'''의 ''z'' 성분이다.
2. 1. 3. 궤도 경사 0의 원 궤도
궤도 경사 가 0인 원 궤도에서는 특정할 만한 궤도 교점 이 없어 위도 인수 또한 정의되지 않는다. 따라서 이 때는 진 경도(true longitude)를 사용한다. : l = \arccos { r_x \over { \mathbf{\left |r \right |}}} :(만약 v_x > 0 이라면 l 를 2\pi - l 로 치환)''rx ''는 궤도 위치 벡터 ''r''의 ''x'' 요소이다. ''vx ''는 궤도 속도 벡터 ''v''의 ''x'' 요소이다.
2. 2. 편심 이각으로부터
편심 이각 ''E''를 통해 진근점 이각 \nu 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 [9] :\cos \nu = {\cos E - e \over 1 - e \cos E} 여기서 ''e''는 궤도 이심률 이다.사인 과 탄젠트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[1] :\sin \nu = :\tan \nu = = 위 식은 아래 식과 같다. :\tan \left( \sqrt{1-e} \cos {E \over 2}, \sqrt{1+e} \sin {E \over 2} \right)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여기서 arg(''x'', ''y'')는 벡터 (''x'', ''y'')의 극 성분으로, atan2(''y'', ''x'')
함수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. 또 다른 형태는 다음과 같다. [2] :\tan } 따라서, :\nu = E + 2 \arctan \left( \right) 로 계산할 수 있다.\beta = {1 \over e} \left( 1 - \sqrt{1 - e^2} \right) 를 사용하면, 진근점 이각 \nu 는 다음과 같은 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. [7] :\begin{aligned} \nu &= E + \sum_{s=1}^\infty {2 \over s} \beta^s \sin sE \\ &= E + 2 \left( \beta \sin E + {\beta^2 \over 2} \sin 2E + {\beta^3 \over 3} \sin 3E + {\beta^4 \over 4} \sin 4E + \cdots \right) \end{aligned}
2. 3. 평균 근점 이각으로부터
평균 근점 이각 M 으로부터 푸리에 급수를 통해 진근점 이각을 직접 계산할 수 있다. [3] :\nu = M + 2 \sum_{k=1}^{\infty}\frac{1}{k} \left[ \sum_{n=-\infty}^{\infty} J_n(-ke)\beta^
\right] \sin{kM} 여기서 베셀 함수 는 J_n 이며, 파라미터 \beta = \frac{1-\sqrt{1-e^2}}{e} 이다.e^4 이상의 차수의 모든 항을 생략하면(\operatorname{\mathcal{O}}\left(e^4\right) 로 표시),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 [3] [4] [5] :\nu = M + \left(2e - \frac{1}{4} e^3\right) \sin{M} + \frac{5}{4} e^2 \sin{2M} + \frac{13}{12} e^3 \sin{3M} + \operatorname{\mathcal{O}}\left(e^4\right). 이 근사는 일반적으로 이심률 e 가 작은 궤도에 제한된다.\nu - M 식은 중심 방정식으로 알려져 있다.평균 근점 이각 ''M''에 의한 푸리에 급수 표시는 다음과 같다. :\begin{align}\nu& = M + 2 e \sin M + \frac{ 5 }{ 4 } e^2 \sin 2 M + e^3 \left( \frac{ 13 }{ 12 } \sin 3 M - \frac{ 1 }{ 4 } \sin M \right)\\ &+ e^4 \left( \frac{ 103 }{ 96 } \sin 4 M - \frac{ 11 }{ 24 } \sin 2 M \right)\\ &+ e^5 \left( \frac{ 1097 }{ 960 } \sin 5 M - \frac{ 43 }{ 64 } \sin 3 M + \frac{ 5 }{ 96 } \sin M \right)\\ &+ e^6 \left( \frac{ 1223 }{ 960 } \sin 6 M - \frac{ 451 }{ 480 } \sin 4 M - \frac{ 11 }{ 24 } \sin 2 M \right) + \cdots \end{align} [8]
2. 4. 진근점 이각으로부터 반지름
궤도상의 천체와 중심 천체 사이의 거리(반지름)는 진근점 이각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 :r = a\cdot{1 - e^2 \over 1 + e \cos\nu}\,\! 여기서 ''a''는 궤도의 긴반지름 이다.
3. 다른 이각과의 관계
진근점 이각은 편심 이각 ''E''와 다음 관계를 가진다. [9] :\tan{\nu \over 2} = \sqrt} \tan{E \over 2}. 또한, 평균 근점 이각 ''M''을 통해 케플러 방정식 을 풀어 \nu 에 대한 푸리에 급수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. [8]
3. 1. 이심 근점 이각과의 관계
진근점 이각 ν영어 와 이심 근점 이각 ''E''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:\cos \nu = \frac{\cos E - e}{1 - e \cos E} 또는 사인 과 탄젠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[9] :\sin \nu = \frac{\sqrt{1-e^2} \sin E}{1 - e \cos E} :\tan \nu = \frac{\sin \nu}{\cos \nu} = \frac{\sqrt{1-e^2} \sin E}{\cos E - e} 이는 아래의 식과 동등하다. :\tan \frac{\nu}{2} = \sqrt{\frac{1+e}{1-e}} \tan \frac{E}{2} 위 식을 통해 진근점 이각을 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. :\begin{align} \nu &= E + \sum_{s = 1}^\infty \frac{2}{s} \beta^s \sin sE \\ &= E + 2 \left( \beta \sin E + \frac{\beta^2}{2} \sin 2E + \frac{\beta^3}{3} \sin 3E + \frac{\beta^4}{4} \sin 4E + \cdots \right) \end{align} (\beta = \frac{1}{e} \left( 1 - \sqrt{1 - e^2} \right) ) [7]
3. 2. 평균 근점 이각과의 관계
평균 근점 이각 M 으로부터 푸리에 급수 를 통해 진근점 이각을 직접 계산할 수 있다: [3] :\nu = M + 2 \sum_{k=1}^{\infty}\frac{1}{k} \left[ \sum_{n=-\infty}^{\infty} J_n(-ke)\beta^ \right] \sin{kM} 여기서 베셀 함수 는 J_n 이며, 파라미터 \beta = \frac{1-\sqrt{1-e^2}}{e} 이다.e^4 이상의 차수의 모든 항을 생략하면(\operatorname{\mathcal{O}}\left(e^4\right) 로 표시),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: [3] [4] [5] :\nu = M + \left(2e - \frac{1}{4} e^3\right) \sin{M} + \frac{5}{4} e^2 \sin{2M} + \frac{13}{12} e^3 \sin{3M} + \operatorname{\mathcal{O}}\left(e^4\right). 이 근사는 일반적으로 이심률 e 가 작은 궤도에 제한된다.\nu - M 식은 중심 방정식으로 알려져 있다. 이심 근점 이각 ''E''와 평균 근점 이각 ''M''의 관계는 케플러 방정식 을 풀어 구하지만, 이를 진근점 이각 \nu 와 평균 근점 이각 ''M''에 의한 푸리에 급수 표시로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. [8] :\begin{align}\nu& = M + 2 e \sin M + \frac{ 5 }{ 4 } e^2 \sin 2 M + e^3 \left( \frac{ 13 }{ 12 } \sin 3 M - \frac{ 1 }{ 4 } \sin M \right)\\ &+ e^4 \left( \frac{ 103 }{ 96 } \sin 4 M - \frac{ 11 }{ 24 } \sin 2 M \right)\\ &+ e^5 \left( \frac{ 1097 }{ 960 } \sin 5 M - \frac{ 43 }{ 64 } \sin 3 M + \frac{ 5 }{ 96 } \sin M \right)\\ &+ e^6 \left( \frac{ 1223 }{ 960 } \sin 6 M - \frac{ 451 }{ 480 } \sin 4 M - \frac{ 11 }{ 24 } \sin 2 M \right) + \cdots \end{align}
4. 사영 이각
궤도 유형은 두 개의 투영 매개변수 \alpha 와 \beta 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.
궤도 유형 조건 원형 궤도 \beta=0 타원 궤도 \alpha \beta < 1 포물선 궤도 \alpha \beta = 1 쌍곡선 궤도 \alpha \beta > 1 선형 궤도 \alpha = \beta 허수 궤도 \alpha < \beta
여기서,\alpha= \frac{ ( 1 + e ) ( q - p ) + \sqrt{ ( 1 + e )^2 ( q + p )^2 + 4 e^2} }{2} \beta= \frac{ 2 e }{ (1 + e ) ( q + p ) + \sqrt{ ( 1 + e )^2 ( q + p )^2 + 4 e^2} } q = (1 - e) a p = \frac{1}{Q} = \frac{ 1 }{ (1 + e) a}
\alpha 는 긴반지름 , e 는 이심률 , q 는 근일점 거리, Q 는 원일점 거리이다. 행성의 위치와 태양 중심 거리 x , y 및 r 은 투영 이각 \theta 의 함수로 계산할 수 있다.x = \frac{ - \beta + \alpha \cos \theta }{ 1 + \alpha \beta \cos \theta } y = \frac{ \sqrt{ \alpha^2- \beta^2 } \sin \theta}{ 1 + \alpha \beta \cos \theta } r = \frac{ \alpha - \beta \cos \theta }{ 1 + \alpha \beta \cos \theta } 투영 이각 \theta 는 이심 이각 u 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.\tan \frac{ \theta }{ 2 } = \sqrt{ \frac{ 1 + \alpha \beta }{ 1 - \alpha \beta } } \tan \frac{ u }{ 2 } u - e \sin u = M = \left(\frac{1 - \alpha^2 \beta^2}{\alpha ( 1 + \beta^2 )}\right)^{3/2} k ( t - T_0 ) \frac{ s^3 }{ 3 } + \frac{ \alpha^2 - 1 }{ \alpha^2 + 1} s = \frac{2 k ( t - T_0 )}{\sqrt{ \alpha ( \alpha^2 + 1)^3 } } s = \tan \frac{ \theta }{ 2 } \tan \frac{ \theta }{ 2 } = \sqrt{ \frac{ \alpha \beta + 1 }{ \alpha \beta - 1 } } \tanh \frac{ u }{ 2 } e \sinh u - u = M = \left(\frac{ \alpha^2 \beta^2 - 1 }{\alpha ( 1 + \beta^2 )}\right)^{3/2} k ( t - T_0 ) 위의 방정식들을 케플러 방정식 이라고 부른다. 임의의 상수 \lambda 에 대해, 일반화된 이각 \Theta 는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.\tan \frac{ \Theta }{ 2 } = \lambda \tan \frac{ u }{ 2 } 이심 이각, 진근점 이각, 투영 이각은 각각 \lambda=1 , \lambda=\sqrt{\frac{1+e}{1-e}} , \lambda=\sqrt{\frac{1+\alpha\beta}{1-\alpha\beta}} 인 경우이다.
참조
[1]
서적
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
[2]
논문
A Note on the Relations between True and Eccentric Anomalies in the Two-Body Problem
https://ui.adsabs.ha[...]
[3]
서적
An Introduction to the Mathematics and Methods of Astrodynamics
https://books.google[...]
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& Astronautics
2022-08-02
[4]
서적
Textbook on Spherical Astronomy
https://wangsajaya.f[...]
[5]
서적
Orbital Motion
https://forum.fh-aac[...]
Institute of Physics (IoP)
2020-08-29
[6]
사전
離心近点角
eccentric-anomaly
[7]
서적
Methods of Celestial Mechanics
Academic Press, New York and London
[8]
서적
Methods of Celestial Mechanics
Academic Press, New York and London
[9]
서적
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